해양치유란?
완도의 청정한 해양환경과 그 바다에서 나오는 해양자원을 활용하여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건강증진 활동입니다.
해양치유 자원은?
해양치유자원은 크게 네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.
- 해양기후 : 태양광, 해풍, 해양에어로졸*
- 해수 : 표층수, 염지하수
- 해양생물 : 해조류, 전복 등
- 해양광물 : 소금, 모래, 해니(갯벌)
* 해양에어로졸 : 바다 표면에서 파도가 일렁일 때 바닷물이 비말(물방울)을 형성한 후 터질 때 형성되어 기체 중에 떠 있는 액체나 고체 입자
해양치유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나요?
각 자원의 특징에 맞춰 치유요법을 진행합니다.
해양기후치유
-
치유요법해양기후치유
-
해양자원(소분류)해풍, 태양광, 해양에어로졸
-
활용 콘텐츠노르딕워킹, 태양광, 요가, 명상, 산책 등
-
치유효과호흡기 질환, 면역, 관절염 등
노르딕 워킹
비치 바스켓
요가
명상
해수치유
-
치유요법해수치유
-
해양자원(소분류)표층수, 염지하수
-
활용 콘텐츠수중운동, 흡입, 해수 사우나 등
-
치유효과피부질환, 관절염, 재활 등
수중운동
해수흡입
해수풀
해수 입욕
해양생물치유
-
치유요법해양생물치유
-
해양자원(소분류)해조류, 전복
-
활용 콘텐츠입욕, 도포, 섭취, 바이오소재 등
-
치유효과피부질환, 항염증, 비만 등
도포
도포
입욕
바이오 산업화
해양광물
-
치유요법해양광물
-
해양자원(소분류)갯벌, 소금, 모래, 맥반석
-
활용 콘텐츠도포, 입욕 등
-
치유효과피부질환, 재활, 관절염 등
도포
도포
입욕
제품화
해양치유는 어떤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가?
-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 관심이 많은 사람
- 스포츠 경기력 향상이 기대되는 운동선수 및 사회체육인
- 운동경기중 부상 등으로 재활치료가 필요한 운동선수 및 사회체육인
- 수술후 회복이 필요한 사람
일반 국민
(질병예방 및 건강증진)운동선수 및 사회체육인
(경기력 향상 및 재활치료)수술 회복기 환자
해양치유의 산업화?
해양치유산업은 의료·바이오·관광이 융·복합된 지역특화산업으로 지역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산업
의료사업
- 해양자원의 과학화를 통한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
- 의료인에 의한 해양 치유서비스 제공
바이오산업
- 해양 생물자원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연구
- 제약, 신소재, 식량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R&D 및 임상연구
해양치유단지
- 해양치유단지 숙박시설, 관광지 연계
- 성수기·주말에 집중되는 관광레저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산업
- 단순 휴양형 관광만으로는 타 관광산업과 차별화가 안됨
- 반드시 의료산업이 뒷받침 되어야 치유산업의 차별화가 이루어짐
- 또한 자원관리 및 개발을 위한 바이오산업이 융합되어야
- 해양치유의 산업화가 이루어져 소득창출
왜 완도는 해양치유산업의 최적지인가?
- 265개의 섬, 리아스식 해안
- 신지명사십리 블루플래그 인증
- 청정한 대기환경
- 고운모래 해변과 고품질의 갯벌
- 해저에 형성된 맥반석으로 청정한 바다환경과 수산물 품질 우수
- 국내 최대 난대림 수목원
청정바다수도 완도는 대한민국 해양치유산업의 중심지
완도에서 해양치유산업을 추진하는 배경
- 지속되는 인구유출로 지자체 소멸위험지역 34위
- 기후변화로 인한 수산업의 불안성 고조 및 1,2차산업 중심의 경제
- 인구 고령화 대비 의료복지 서비스 부족
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지역특화 해양치유산업
완도가 해양치유산업으로 그리는 미래
- 신산업 육성을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
- 지역주민 건강증진 등 복지서비스 향상
- 지역 풀뿌리 산업인 농·축·수산업과 연계해 농어촌 경쟁력 강화
- 해양치유산업 관광객 유치 및 관련 소득 창출